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



반려동물의 상실은 삶의 피할 수 없는 부분이며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슬픔처럼 감정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10년 이상 고이 길러온 사랑하는 애완동물의 상실은 가족들의 삶에서 아주 힘든 경험이 됩니다.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은 반려동물의 죽음이나 상실을 경험하고 겪는 슬픔과 정서적 고통을 말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펫로스 증후군의 징후와 증상, 원인, 대처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의 징후 및 증상

반려동물이 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경우 증상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압도적인 슬픔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장기간 지속되는 강렬한 슬픔을 느낍니다. 상실을 받아들이고 깊은 슬픔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잦은 울음을 동반하는 압도적인 슬픈 감정은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슬퍼하는 여성

정서적 무감각과 부정

어떤 경우 처음에는 감정적으로 무감각 해지거나 애완동물의 죽음에 대해 부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초기 충격에 대처하는 데 방어 메커니즘이 발동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죄책감

반려동물의 건강이나 죽음이 자신이 잘 돌보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는 생각을 품고 죄책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잃은 후 죄책감은 슬픔의 정상적인 반응이며 완벽하게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는 보호자는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신체적 증상

식욕 부진과 수면 장애, 피로, 집중력 저하와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실과 관련된 정서적 고통의 결과입니다.

사회 활동 감소

일부 사람들은 애완동물을 상실한 후 사회 활동에 담을 쌓는 경우가 있습니다. 친구와 가족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혼자만의 세계에 갇혀서 소속되어 있던 모임 활동도 참여하지 않는 등의 사회적 활동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의 원인

펫로스 증후군의 원인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슬픔의 강도에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서적 유대감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유대가 깊을수록 슬픔의 강도는 더욱더 커집니다. 유대감이 깊을수록 상실에 대한 대처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 중에도 특히 반려동물에게 애착이 강했던 사람일수록 다른 가족들 보다 훨씬 더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돌본 기간

반려동물과 함께 한 시간도 애도 과정 극복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오랜 기간 삶의 일부였던 애완동물은 함께 지낸 시간이 길어질수록 공허함과 상실감이 더 크게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강아지와 주인
고냥이와 노는 주인

죽음의 상황

반려동물이 죽음을 맞이한 상황은 애도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갑작스럽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망은 특히 더 괴로울 수 있고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실감이 더 큽니다. 이 경우 자연스럽게 노화로 인한 죽음을 맞이한 경우보다 펫로스 증후군 발병률이 더 높습니다.

이전 상실의 경험

이전에도 반려동물을 떠나보내거나 트라우마가 있는 경우 펫로스 증후군의 발병 확률이 높습니다. 해결되지 않는 과거의 슬픔이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상실을 경험할 경우 과거의 상처에 가중시켜 현재의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정서적 지원과 애착

반려동물은 주인에게 무조건적인 사랑과 감정적으로 위안을 주는 존재입니다. 정서적으로 반려동물에게 크게 위안을 받고 기쁨과 즐거움을 받던 보호자에게 반려동물의 죽음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안과 평안함을 주던 존재의 상실은 상당히 큰 공허함을 남기게 됩니다.

일상의 변화

애완동물을 돌보는 일이 우리의 일상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반려동물의 사망은 돌보던 일과가 중단되고 목적과 정체성을 상실한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의 대처 방법

슬픔의 극복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펫로스 증후군의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감정을 인정하기

슬픔이나 분노, 죄책감과 안도감 같은 반려동물을 상실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감정이 정상적인 과정임을 이해하고 충분히 슬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모 공간 만들기

사망한 반려동물을 위한 추모 공간을 만들면 기억할 수 있는 장소가 생김으로써 애완동물을 추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해줍니다. 이 공간에서 반려동물에게 편지를 쓰거나 특별한 추모식을 여는 것도 좋은 방법이고 나무나 꽃을 심는 것도 좋습니다.

반려견과 즐거운 추억

새로운 애완동물

시간이 걸리지만 새로운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마음의 위안을 얻고 치유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감정적으로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른 반려동물을 데려오기 전에 충분히 치유하고 슬퍼하는 시간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준비가 되어야 다른 반려동물에게 마음을 열 수 있고 기쁨과 치유를 받을 수 있습니다.

펫로스 증후군 커뮤니티

펫로스 증후군의 치유는 혼자 감당하기 버거울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사치스러운 감정이고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나 같은 아픔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연결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유사한 아픔과 기억,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대처 방법을 함께 모색해 나갈 수 있기도 합니다.

상담사나 수의학 전문가의 도움

슬픔이 너무 커서 일상생활에 심각하게 지장을 주는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 상담사는 개인의 필요에 맞는 지침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죄책감이나 후회 또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경우 치료사는 개인이 감정을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잃고 난 후 증상의 대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회복에 도움이 될 수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의 상실만으로도 힘겨운데 겨우 기르던 동물이 죽은 것 뿐인데 왜 이렇게 슬퍼하는지 모르겠다고 이해해 주지 않는 사람들에게 상처받는 많은 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